1월 27일 드디어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시작되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원대로 서울시내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교통카드죠. 시내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따릉이까지 이용 횟수 제한이 없습니다. 단, 다인승 승차는 안됩니다.
따릉이를 포함하면 6만5천원, 따릉이 이용 안 하는 분들은 6만2천원권 선택할 수 있습니다.
28일 기사에서 15만 장이 팔렸다는 소식에 인기를 체감하며, 서비스 이용 범위, 카드등록과 충전 사용법, 현금영수증 적용 방법에 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 제외 범위
✅ 서비스 이용 범위
기후동행카드는 기본적으로 서울시내 지하철, 서울시 면허를 가진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심야버스 포함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간선버스 요금을 적용하는 서울동행버스 서울02, 서울04, 서울05 동행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 외곽을 오고 가는 지하철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 지하철 이용 범위
(1호선) 온수/금천구청~도봉산
(2호선) 전 구간
(3호선) 지축~오금
(4호선) 남태령~당고개
(5호선) 방화~강일/마천
(6호선) 전 구간
(7호선) 온수~장암
(8호선) 전 구간
(9호선) 전 구간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우이신설선) 전 구간
(신림선) 전 구간
(경의중앙선) 수색~양원/서울역
(경춘선) 청량리~신내
(수인분당선) 청량리~복정
✅ 제외 범위
일부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공항버스, 타시도 면허 버스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차, 하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합니다.
2️⃣ 지하철의 경우 서울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청역에서 승차하고 (인천)부평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를 태그하여 하차할 수 없습니다.
모르고 탔다면 하차역에서 역무원을 호출하여 별도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승차역에서 하차역까지의 이용요금)
✔️ 예외적으로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 외 지역에서 하차 가능한 지하철 역
4호선(별내별가람~진접)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김포골드라인(전구간)
진접선(전구간)
(단, 해당 역에서 승차는 안됩니다)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이용범위 검색 방법
서울 외곽을 오고 가는 분들은 좀 헷갈릴 수 있는데요.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를 검색해 볼 수 있습니다.
예시로 '부평'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1호선 부평역 하차 시 이용할 수 없고, 7호선 부평구청역은 하차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법 (충전, 카드등록)
기후동행카드는 실물카드와 모바일카드 방식이 있습니다.
가격은 버스+지하철+따릉이 = 6만5천원, 버스+지하철 = 6만2천원권 있습니다.
✅ 모바일 카드는 현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이용 가능합니다. 휴대폰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카드발급과 충전을 합니다.
✅ 실물카드는 구매 후 충전하여 사용합니다.
실물카드 구매처 및 충전
- 지하철 1~8호선 역사 내 고객안전실
- 편의점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 카드 가격 3천원(현금 결제)
충전
- 지하철 역사 내 무인충전기(현금 충전)
✅ 기후교통카드 구매 및 충전
기후교통카드 구매할 때 결제수단
- 모바일카드는 계좌이체만 가능하고, 실물카드는 현금만 가능합니다. 모바일카드 결제수단은 향후 신용카드도 추가 예정이라고 합니다.
카드 충전일로부터 5일 이내 사용개시일 선택하여, 사용개시일로부터 30일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충전은 사용기간이 만료되기 5일 전부터 가능하며 만료일 +30일로 자동 연장됩니다. (기존 사용하던 권종으로 자동 연장)
✅ 실물카드를 새로 구매한 경우 카드등록
카드등록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등록을 한번 해줘야 합니다. 카드 미등록 시 따릉이 이용 불가하며, 환불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 시 주의사항😲
기후동행카드는 하차할 때 반드시 카드를 찍어야 합니다.
사용기간 동안 2회 이상(누적) 미태그 시, 마지막 태그된 승차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사용정지가 된답니다.
기후동행카드 현금영수증 등록
기후동행카드 충전금은 현금영수증 가능합니다. (환불받은 금액은 제외)
국세청 홈페이지에 기후동행카드를 등록해야 현금영수증 적용됩니다.
✅ 현금영수증 카드등록 방법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후 "현금영수증 발급용 휴대전화번호 및 카드관리" 화면에서 카드번호를 등록합니다.
홈택스 로그인 →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 → 현금영수증(근로자소비자) → 소비자 발급수단·전용카드 → 현금영수증 발급용 휴대전화번호 및 카드관리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직장인이라면 교통비 신경 안 쓰고 맘 편히 타고 다닐 수 있겠습니다. 횟수 제한이 없다는 것이 장점 같습니다. 기본거리보다 먼 곳으로 다니는 분들은 확실히 도움이 될 듯합니다.
꿀 같은 기후동행카드! 아쉽게도 이용할 수 없는 분들은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K패스 교통카드입니다.
K패스는 기후동행카드 같은 정기권 개념은 아니고, 교통카드 기능이 담긴 신용카드입니다.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버스 지하철 이용 시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줍니다. K패스는 올해 5월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교통비 절약 관련 글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대중교통비를 최대 53% 환급받을 수 있는 '케이패스(K-패스)'가 5월에 시행된다고 합니다. K패스는 한달에 15번 이상✅ 정기적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면 지출한 교통비의 일부를 다음 달에 환
blog.norangsil.com
대중교통 무제한 '기후동행카드' 가격, 구매처, 이용범위
기후동행카드는 월 65,000원(또는 62,000원)에 서울 권역 내 대중교통(버스, 지하철)과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 입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의 이용을 더
blog.norangsil.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지원금액, 심사기준 (0) | 2024.02.02 |
---|---|
무료 한글폰트 롯데리아 촵딱체 - 촵땡겨체 딱붙어체 다운로드 (0) | 2024.01.31 |
청년희망적금 만기 환승, 청년도약계좌 연계가입 신청기간 (0) | 2024.01.29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금리, 만기금액 예상 (0) | 2024.01.28 |
정부24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확인서비스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