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by 울라이키 2024. 1. 18.
반응형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대중교통비를 최대 53% 환급받을 수 있는 '케이패스(K-패스)'가 5월에 시행된다고 합니다.

 

K패스는 한달에 15번 이상✅ 정기적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면 지출한 교통비의 일부를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

 

현재 대중교통비 할인 혜택을 주는 알뜰교통카드 제도가 있는데요. 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 할인을 받으려면 불편한 점이 있었죠. 케이패스(K-패스)는 알뜰교통카드를 편리성과 혜택면에서 개선한 사업입니다.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좌 ⓒ뉴스1 우 ⓒ연합뉴스

 

K패스 환급 금액

 

알뜰교통카드 보다 K-패스가 할인을 더 많이 해줍니다.

환급 금액은 대상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입니다.

 

💡 예를 들어, K패스를 사용하여 대중교통비 7만원을 지출했다면 일반인은 14,000원, 청년은 21,000원, 저소득층은 37,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월평균 7만원씩 이용한다면, 연간 17∼44만원의 교통비를 절약하게 됩니다.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 비교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가 지급되는 방식이고, 'K패스'는 지출금액에 따라 환급되는 방식이라 이동거리 기록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해 대중교통비 할인을 받으려면 매번 출발과 도착을 기록해야 했습니다. 이게 상당히 불편한 점이었죠. 바쁜 아침에는 출발 버튼 누르는 것을 깜빡 잊을 때가 많았습니다.

 

케이패스(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할 때 카드 찍으면 알아서 환급되는 시스템이라 따로 해줘야 되는 부분이 없어서 편해진 것 같습니다.

 

할인 혜택도 K패스가 조금 더 좋습니다.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K패스 적용되는 교통수단

 

시내버스와 지하철 외에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광역버스 등 요금이 비싼 교통수단에도 케이-패스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K패스 이용하면 장거리 출퇴근 하시는 분들도 꽤 혜택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K패스 카드 발급방법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경우 카드를 또다시 발급할 필요 없이 기존 교통카드를 K-패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2월부터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회원 전환에 관해 안내 예정이라고 합니다.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알뜰교통카드가 없는 신규 이용자라면 5월부터 K패스 홈페이지(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앱에서 카드를 신청합니다.

 

K패스 교통카드를 취급하는 11개 카드사에서 직접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신청해도 됩니다.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비씨, 국민, 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디지비유페이)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교통비 절약 또 다른 방법

 

서울 시민의 경우 교통비를 절약하는 다른 방법으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인데요. 다음은 구매처와 이용방법을 소개한 글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대중교통 무제한 '기후동행카드' 가격, 구매처, 이용범위

기후동행카드는 월 65,000원(또는 62,000원)에 서울 권역 내 대중교통(버스, 지하철)과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 입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의 이용을 더

blog.norangsil.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