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중교통2

기후동행카드 사용법, 서비스 이용 범위, 현금영수증 등록 1월 27일 드디어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시작되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원대로 서울시내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교통카드죠. 시내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따릉이까지 이용 횟수 제한이 없습니다. 단, 다인승 승차는 안됩니다. 따릉이를 포함하면 6만5천원, 따릉이 이용 안 하는 분들은 6만2천원권 선택할 수 있습니다. 28일 기사에서 15만 장이 팔렸다는 소식에 인기를 체감하며, 서비스 이용 범위, 카드등록과 충전 사용법, 현금영수증 적용 방법에 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 제외 범위 ✅ 서비스 이용 범위 기후동행카드는 기본적으로 서울시내 지하철, 서울시 면허를 가진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심야버스 포함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간선버스 요금을 적용하는 서울동.. 2024. 1. 30.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 알뜰교통카드 비교 대중교통비를 최대 53% 환급받을 수 있는 '케이패스(K-패스)'가 5월에 시행된다고 합니다. K패스는 한달에 15번 이상✅ 정기적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면 지출한 교통비의 일부를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 현재 대중교통비 할인 혜택을 주는 알뜰교통카드 제도가 있는데요. 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 할인을 받으려면 불편한 점이 있었죠. 케이패스(K-패스)는 알뜰교통카드를 편리성과 혜택면에서 개선한 사업입니다. K패스 환급 금액 알뜰교통카드 보다 K-패스가 할인을 더 많이 해줍니다. 환급 금액은 대상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입니다. 💡 예를 들어, K패스를 사용하여 대중교통비 7만원을 지출했다면 일반인은 14,000원, 청년은 21,000원, .. 2024. 1. 18.
반응형